프로그램 계획시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계획하면 개발할 때 좀 더 편합니다.

var num; // 전역변수
$(document).ready(function() { // onload
    $('#btn-test').on('click', test); // 이벤트 바인딩 된 함수
    init();
});

function init() { // 전역함수
    num = []; // 초기화
}

function test() { // 전역함수
    console.log('test');
}

1.전역실행 (변수, 함수) : 선언부

화면이 그려지는 경우 참조되는 것이 없는 변수 또는 함수를 선언해야 합니다. 

화면이 그려지기도 전에 참조하는 경우 undefined가 나올 수가 있습니다.

즉, 화면과 관련성이 없어야 합니다.

주의점 : 초기화하기 전 전역변수 사용하는 경우, 즉 변수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료형 method를 사용하려고 할 때 undefined error 가 발생합니다.

 

2.onload : 화면이 호출된 이후 사용하는 경우

1)자주 재사용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.

  자주 재사용되는 경우 전역함수(공통) 또는 사용자 함수로 선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 여러 함수에서 호출하는 함수들은 전역함수로 선언하여 사용합니다.

2)공통코드를 호출합니다.

- 공통코드는 한번 호출 하면 세팅이 완료되므로 재호출 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

3)이벤트 바인딩 된 함수를 사용합니다.

4)초기화 함수를 호출합니다. 

- 첫 화면 로드 시 초기화되면서 설정값들이 없는 상태에서 초기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.

 

3.초기화 (init)

1) Empty : 값을 완전히 지우는 경우

2) 초기 세팅(reset) : 최초 값으로 보여지는 경우

3) clear 

3-1) 전체 clear : 전체 값 비우기

3-2) 부분 clear : 부분 값 비우기

 

4.이벤트 (이벤트 바인딩 된 함수)

- 조회, 저장, 삭제, 수정, 엑셀, 그리드, 버튼, 데이터...

 

5.Utill (사용자 함수)

 

6.callback (콜백함수) : 서버에서 데이터 요청 후 처리하는 함수

 

 

 

728x90
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Development] Data 동시성 적용  (0) 2020.09.06

+ Recent posts